공장용지를 포함하여 지식산업, 정보통신산업, 자원비축 시설을 비롯해,
교육, 정보처리, 유통시설을 건설하고자 계획에 기초하여 선정되고 개발된 토지를 의미합니다.
또한, 시설의 이용자를 위해서 주거, 복지, 문화, 의료, 관광, 체육 시설 등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한국에서는 1961년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이 진행됨에 의해서,
1962년 울산공업단지를 처음으로 전국적으로 다수의 공업단지가 조성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산업단지는 2000년 493개에서 2008년 742개로 늘어나는 등,
2001년 이후 연평균 11.2%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각 지자체가 지역경제 발전 정책으로 산업단지 지정과 공급을 늘렸기 때문입니다.
